본문 바로가기
공감, 이슈, 관심

간밤의 연준(Fed)성명문, 파월 의장 발언 분석, 달러 강세 한국이 처한 현실

by 돈이Money? 2022. 11. 3.

간밤의 연방준비제도(Fed) 성명문과 제롬 파월 의장 발언을 분석해보자.

 

 

 

간밤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에서 또 한번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기준금리를 0.75%포인트(자이언트스텝)을 4연속 단행했다. 이번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하며 제롬 파월 의장이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에 대해서는 명확히 "시기 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연준의 이날 FOMC 정례회의 후 성명을 통해 연방기금금리 상단이 기존 3.0~3.25%에서 3.75~4.0%로 0.75%포인트 인상된다.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도 좀처럼 인플레이션이 꺾이지 않는 상황에서 이번에도 역시나 이례적인 4연속 자이언트스텝을 결정하게 되었다.

 

 

다만 금리 인상 과정에서 "누적된 긴축 정책과 경제에 미칠 여파를 고려할 것"이라며 향후 필요시 정책 변화가 가능하다는 입장도 밝히면서 속도조절을 시사하는 발언도 함께 언급하기도 했다.

 

 

성명문에서는 "누적된 긴축 통화정책, 통화 정책이 경제 활동 및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시차(lags), 경제 및 금융 발전을 고려할 것", "위험이 발생할 경우 적절하게 통화정책을 조정할 준비가 돼있다"는 비둘기적 문장이 포함돼 향후 정책 조정 기대감을 주는 당근을 주기도했다.

 

 

이번 '자이언트 스텝' 단행으로 인한 금리인상은 모두가 어느정도 예상하고 있는 일이라 당장에 큰 충격을 받은 것은 아니라고 할 수있다. 성명문에서 보았듯이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인해 속도조절을 진행 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주고있다.

 

 

 

 

 

 

 


 

정말  FOMC 성명서 내용을 다소 온화하게 해석해도 될까?

 

 

 

 

하지만 과연 연준에서 '인플레 수출'을 멈추게 될까? 성명문에서는 속도조절에 관한 언급이 있었지만, 파월 의장 의견은 다른가보다.

 

 

파월은 직후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이러한 기대감을 일축시켰다. 그는 첫 질답부터 "(금리 인상 속도가)역사적으로 빠른 수준인건 맞지만 금리를 0에서 시작했다는 걸 잊어선 안된다"며 "빠른 수준으로 계속 올리는 건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것"이라며 확고한 모습을 보이면서 성명문의 비둘기적 기조를 꺾었다.

 

 

또한 12월에 0.5%포인트 또는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금리를 계속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면서 "물가지표 등 다양한 데이터를 봤을 때 전반적으로 당초 생각보다는 올려야하지 않나 조심스럽게 예상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일정 시점이 되면 금리 인상을 멈추고 유지할 수 있다. 그게 다음 회의가 될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현재 결정된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현 금융환경이 너무 긴축적이라고 하기엔 어렵다"면서 "중앙은행이 갈 길이 아직 남았다. 우리의 결정은 입수되는 데이터, 경제활동 전망에 미치는 영향 등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이전 FOMC와 동일한, 데이터 기반의 긴축 기조를 확인한 것이다.

 

 

또한 12월에 0.5%포인트 또는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금리를 계속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면서 "물가지표 등 다양한 데이터를 봤을 때 전반적으로 당초 생각보다는 올려야하지 않나 조심스럽게 예상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결국은 미국내 꺾이지 않는 인플레를 잡기위해 '인플레 수출'에 대한 행보를 당분간 지속하겠다는 얘기다. 

 

 

물론 미국의 입장을 들어보면 이해가 안되는 결정은 아니다. 미국의 지난달 공개된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8.2% 상승하며 인플레이션 고착화 우려가 제기된데다, 최근 공개된 고용지표도 강력한 노동시장을 뒷받침했기 때문이다.

 

 

이번 성명문을 근거로 긴축 속도 조절을 기대한 것인지 뉴욕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는데, 미 동부시간으로 오후 2시32분 현재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83% 오른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0.6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51% 상승 중이라는 기사 보도를 보게 되었다.

 

 

하락장에 머물렀던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일제히 상승 전환했고, 다우지수도 오름폭을 소폭 확대했다가 '금리인상 중단을 생각하는 건 매우 시기상조'라는 파월 의장의 말까지 겹치면서 급등했던 뉴욕증시 불과 30분 만에 다시 2~3% 급락하며 장을 마감했다. 월가에서는 파월 의장에 매파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이고 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하는 리스크를 피하기위해 조금 긴축하는 것보다 과도하게 긴축하는 게 낫다는 점을 분명히했다는 것이다.

 

 

내 생각도 마찬가지로 당장에 연준에서 긴축을 일시정지 할 것이라는 비둘기파 신호는 전혀 없었다고 봐야한다. 이날 성명문에서 누적된 긴축 효과의 시차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한 것은 사실이지만 속도를 늦추기 위해 문을 열어두고 있당는 유연성을 시사한 것이지 당장 속도를 늦춘다는 얘기가 아니다.

 

 

이제는 연준에서 보내는 신호보다 CPI, 고용지표, 중국의 제로코로나정책 등이 세계에 미치는 지속적인 영향이 더 중요하다. 연준에서도 갈피를 못잡고 있는 것같다.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팬데믹 영향과 전쟁여파, 전방위적으로 좋지 않은 경제지표들, 또한 러/우로 부터 시작 된 것인지 전쟁의 냄새들이 곳곳에서 들려온다.

 

 

중국의 홍콩,대만의 문제들과 우리나라에 지속적으로 까불어 대고 있는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 갑작스런 이란의 사우디 침공 임박 첩보에 중동까지 긴장하며 유가마저 들썩이는 등 하나가 잠잠해질만하면 또 하나가 악재가 겹겹이 터지는 미친 세상이다. 과연 내년에는 긴축 속도가 늦춰지긴 할까?

 

 

미국 국채 금리는 파월 한 마디에 상승 반전했다.

 

 

국채수익률은 국채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미국 국채수익률은 이날 오후 2시 FOMC 금리를 0.75%포인트 올렸다는 성명서가 발표된 직후 하락했다. 

 

 

10년물 국채수익률은 전날 종가 4.052%에서 3.99%로 내려갔는데 이는 지극히 FOMC 성명서 내용을 다소 온화하게 해석한 것이다. 하지만 파월의 발언으로 인해 10년물 국채수익률은 오후 2시30분에 시작된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시점부터 오후 3시 종가까지 30분간 4% 밑에서 4.059%로 급반등했다.

 

 

이날 2년물 국채수익률은 10월20일 이후 2주일만에 최고치를 갱신했다. 전날 4.538%에서 4.568%로 0.03%포인트 올랐다. 다만 30년물 국채수익률은 전날 4.124%에서 4.122%로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4연속 자이언트스텝, 달러 강세에 따른 한국이 처한 현실

 

 

 

 

이번 미국 연준의 네 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으로 인해 한국경제의 앞날은 먹구름이 짙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금리차는 지난달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빅스텝'을 밟으면서 0.25%포인트까지 격차가 줄었지만 미국 연준의 이날 '자이언트 스텝'으로 인해 다시 1.00%포인트까지 격차가 확대됐다.

 

 

이에 따라 강달러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면서 안전자산이자 가치가 높은 달러를 좇아 국내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은 불가피해졌다.

 

 

 

고환율, 고금리, 고물가 등 3중고를 겪고 있는 한국경제 하방 압력은 확대되고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에 수출 감소 우려까지 겹치면서 경기 하방 압력은 더욱 커져버렸다.

 

 

미국의 고강도 긴축으로 인해 2중고와 더불어 저성장이라는 복합위기가 심화 되고있다.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올해 들어 16%가 절하되었으며 같은 기간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17% 올랐다.

 

 

이같은 고환율은 현재 좋지않은 글로벌 경제로 인해 소비가 줄어들면서 수출이 주 수입원인 한국에서 수출하여 얻을 득은 줄어들고 있는데 한국에 수입 물가는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마디로 미국의 긴축으로 인해 소비가 줄며 수출은 더뎌지는데 수입의 경우 같은 물건을 사더라도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더 많은 원화를 지불해야 한다는 의미다.

 

 

지난 9월 수입 물가는 원화 기준으로 전달 대비 3.3% 올랐지만 수입할 때 계약했던 결제 통화 기준을 보면 이는 수입 물가가 1.4% 하락한 것이다. 전기/가스 요금 인상 등으로 6개월째 5%를 넘는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수입 물가 상승세는 전체 물가가 내려오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말은 현재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삼은 한국은행 입장에서 금리 인상을 이어가야 하는 이유가 되며 또한 한/미 금리 차가 벌어졌을 때 환율이 위로 향할 수 있다는 점도 금리 인상의 명분이 된다.

 

 

이렇게 미국의 금리 인상에 미국 경기 둔화 압력이 가중된다는 점은 한국 수출에 있어서 엄청난 악재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5.7% 감소해 2020년 10월인 -3.9% 이후 2년 만에 줄었고 수출 증가율이 지난 6월에 한 자릿수로 내려온 데 이어 아예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나 전 세계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주력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7.7%가 급감하여 수출에 적신호가 켜졌으며 이런 가운데 미국 장단기 국채 금리 수익률이 역전되고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10월 소비자신뢰지수가 전월보다 하락해 소비 심리 약화를 시사하는 등 곳곳에서 미국 경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결국 한은도 올해 마지막 남은 11월 금통위에서 6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졌다. 한/미 금리차 확대와 더불어 미국 연준의 공격적 긴축이 지속될 것이란 메시지가 확인된 만큼, 자금 유출과 무역수지 적자 확대 등을 막기 위해서라도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빅스텝' 카드를 꺼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가 지난 8월 전세계 중앙은행 수장들의 모임인 잭슨홀 미팅에 참석해 "한은의 통화정책은 한국 정부로부터는 독립했지만 미 연준의 통화정책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한 것은 아니다. 한은이 미 연준보다 먼저 금리인상을 시작했지만 미국보다 먼저 금리인상을 종료하기는 어렵다"고 언급한 것처럼 한국은 미국의 금리상단을 쫒을 수 밖에 없다.

 

또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을 살펴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로 전년동기(103.35) 대비 5.7% 상승하여 전달인 9월 5.6%보다 상승폭이 0.1%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당장 국내 인플레이션 정점이 뚜렷하게 찍히지 않고 있다는 점도 한은 입장에서는 부담이 되는 점 또한 한은 금통위가 올해 연말 기준금리를 연 3.5%를 넘어 내년 초 3.75~4%까지 올릴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올해 마지막 한은 금통위는 이달 24일이 마지막이며, 내년부터 1월13일, 2월23일, 4월13일 등으로 예정돼 있다.

 

 

반응형

댓글


var checkAdsenseAdsFlag = true; var checkAdsenseAdsTimer = 0; var checkAdsenseAdsCnt = 0; function checkAdsenseAds() { if(checkAdsenseAdsFlag) { if(checkAdsenseAdsTimer != 0) { clearTimeout(checkAdsenseAdsTimer); checkAdsenseAdsTimer = 0; } checkAdsenseAdsTimer = setTimeout(function() { var insAdsbygoogle = $('ins.adsbygoogle'); if(insAdsbygoogle.length > 0) { var cnt = 0; for(var i=0; i 5) insAdsbygoogle.eq(i).remove(); } } if(cnt == 0) checkAdsenseAdsFlag = false; checkAdsenseAdsCnt++; } }, 5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