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과지원'이 money?

"청년도약계좌 하나부터 열까지 파헤치기" 가입조건&신청방법 및 혜택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by 돈이Money? 2022. 3. 14.
  • 안녕하세요 돈이money? 입니다.

 

 

오늘은 대선결과가 끝나고 한창 '핫'이슈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 하나부터 열까지 파헤치기"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뭘까?

 

청년도약계좌라는 제도는 제 20대 대통령으로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면서

공약으로 내놓았던 정책으로 '10년간 1억 만들기 통장' 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연소득 2,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3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40만원을 다달이 지원하면서 최대 70만원 납입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거기에 연 복리 3.5%에 비과세혜택 상품이기 때문에 '10년간 1억 만들기 통장' 으로 불리게 되었죠

 

  

 

 

간편 요약: 매달 최대한도 70만원 저축하면 연 3.5%의 '복리'로 '10년을 납부'하면 1억 원이 적립되는 정책지원 산업이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가입대상: 만 19세~34세(1987~2003년 생) 가입 때 직장인이어야 합니다.
  • 가입조건: 연 소득 상관없이 가입 가능하지만 소득에 따라 혜택이 변동될수있음
  • 가입기간: 최대 10년
  • 가입금액: 최대 70만 원 한도(지원금을 포함)
  • 가입계좌: 1인당 하나의 계좌만 가입(청년희망적금 계좌와 중복 가입 불가)

 

추가사항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들은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등 3가지 투자 운용 형태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중도 인출 및 재가입은 생애 최초 주택을 구입, 장기 실직, 재해 등 정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출처 : 헤럴드경제

 

'10년간 1억 만들기 통장' 으로 불리는 '청년도약계좌'

 

이 상품에 가입하게 되면 '10년간 최대 5,754만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똑같은 정부 지원금'을 받는것은 아닌데요 

 

간편요약

1) 2,400만원 이하 저축한도 : 월 최대30만원/ 정부 지원금 : 월 최대 40만원
2)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 저축한도: 월 최대 50만원 / 정부지원금 : 월 최대 20만원
3) 3,600만원 초과 4,800만원 이하 저축한도 :월 최대 60만원 / 정부지원금 : 월 최대10만원
4) 4,800만원 초과 저축한도 : 미정 / 정부지원금:없음 다만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

 

 위 간편요약처럼 연간 소득별로 지원 혜택의 차이가 다르다는 걸 알수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최대 70만 원 한도로 10년 납입하면 얼마?

 

네이버 이자 계산기로 간단히 계산해 보았습니다.

 

출처 : 이자 계산기 (네이버)

 

네이버 이자 계산기로 간단히 계산해 보았습니다. 

총 금액: 약 1억 60만원 정도로 '10년 동안 5754만 원의 혜택' 을 받을수 있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와 '청년희망적금' 의 차이점

이쯤에서 '청년희망적금' 얘기를 안 하고 갈 수 없겠네요.

"청년희망적금"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국세청, 3월 1일부터 15일까지 근로장려금 신청하세요~ (2022년)

국세청, 2021년 하반기분 근로장려금 신청 안내 2022년에 시행하는 근로장려금 입니다! 근로소득자는 3월 15일까지 꼭 신청하세요! * ’21.9월 상반기분 신청자는 별도 신청하지 않음 ◆ 신청대상 - 2

qlehfl0321.tistory.com




얼마 전 청년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청년희망적금
매월 50만 원 한도 내에 2년간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적금상품으로
정부에서 청년의 자산관리 및 미래 도약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던 정책입니다.


2년간 원금 1200만 원을 모으면서 연 6%의 은행 이자가 적용 + 저축장려금(정부지원금)을 지원받아
약 108만 원의 이자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청년 정부지원 상품이었습니다.


첫 신청을 받던 날부터 가입을 희망하는 총 290만 명의 청년들이 폭발적으로 몰려 은행 서버가 다운되기도 했었습니다.
이런저런 이슈들로 바람 잘날 없는 요즘 노력만으로 한 푼 두 푼 돈을 모아 살만한 생활을 누리기가 힘든 지금의
세대들이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것이 보여 같은 세대로서 피부로 와닿기도 하고 공감되는 현상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와 '청년희망적금' 무엇이 다른가?

출처 : 헤럴드경제
청년도약계좌

장점

1.청년희망적금보다 정부에서 받는 혜택이 높습니다.

2. 10년간 연 3.5%의 '복리의 마법'을 무시할수 없죠

3. 전부 비과세라는 것

단점

1. 문제는 10년 만기라는 점

2. 예산문제 34조 8000 의 예산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청년희망적금




장점

1. 청년희망적금은 정부가 지원하는 혜택이 2년간 최대 '45만6000원' 최고 연10% 상당의 '금리'는 희망적금이 더 높습니다.

2. 만기가 2년이라 부담이 덜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단점

정부에게 받는 혜택이 청년도약계좌 보다는 낮다 하는 것을 들 수 있겠습니다.

희망적금은 지난달부터 이달 초까지 가입 신청을 받았으며 290만 명이 신청을 정도로 인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두 상품을 모두 가입할 수는 없는데, 윤 당선인 공약집에 따르면 도약 계좌는 “재정으로 지원하는 유사 제도와의 중복 가입·지원 방지”라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죠.
이미 가입이 끝난 희망적금 가입자는 도약 계좌에 가입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이는 신청 자격자 청년 19~34세의 인구 1076만 명에 30%가량으로 청년도약계좌에서 대거 배제될 위기에 있었던 것도
특히 희망적금 가입자는 주로 저소득 청년이라는 점에서 이들이 배제될 경우 청년 자산 형성이라는
정책 취지가 훼손될 수 있었습니다.

이에 윤석열 당선인 측은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계좌'로 바꿔 가입하는 길을 열어줌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청년도약계좌 문제점은 없을까?




1. 먼저 윤석열 당선인의 '대선공약'이었고 아직 시행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공약은 공약일 뿐 100% 시행이 아닐뿐더러 기타 세부사항이나 시행 여부도 언제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2. 19~34세만? 형평성&퍼주기 논란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거기다 소득 구간에 따라서 정부 지원금이 다르기 때문에 소득역전 현상에 대한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간 2,400만 원을 버는 청년의 경우 매달 40만 원을 지원받아 1년에 2,880만 원을 버는 셈인데
소득이 2600만 원인 사람은 매달 20만 원을 지원받아 1년에 240만 원을 지원받아 2840만 원을 버는 셈이니
연간 소득이 작은 사람이 정부에서 더 많은 지원금을 받는 것이죠.
솔직히 저는 이 점에서는 찬성하는 바이지만 형평성에 대한 문제는 논란이 있을 듯합니다.

3. 엄청난 예산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20~34세 취업자는 630만 명 정도였습니다.
만약 630만 명 모두가 도약 계좌를 가입해 매월 최소 지원금액인 10만 원씩만 받는다고 하여도 한해에만 7조 5600억 원 예산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올해 국가 전체 예산 607조 원의 1%가 넘는 금액인데, 1회성 지원도 아니고 매년 지속할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예산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언급도 나오지 않았고 청년희망적금도 당초 정부가 예상했던 수요(38만 명)의 8배인 290만 명이 몰리면서 예산을 확보했어야 했는데 거기다 청년 도약 계좌에 얼마나 수요가 몰릴지도 알 수 없고,

청년희망적금이 2년 간 1조 440에 예산이었는데 10년 간 34조 8000의 예산...
팔면 팔수록 손해라는 은행권의 볼멘소리가 있었던 만큼 청년 도약 계좌가 정부의 예산으로 전부 지원하는 게 아닌, 은행권에게 부담을 전담하는 식이라면 은행권에서도 쉬쉬 하지 않을 듯합니다.








여기까지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역대 정부지원정책을 돌아보았을 때 거의 최고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건 맞습니다.
문제는 10년 만기라는 점인데 10년 간 34조 8000의 막대한 예산을
10년간 집권하지도 않을 현 정부가 어떻게 책임을 지려는 지도 의문이고
저 막대한 예산을 막기 위해 어떤 형태로든 시행 여부는 바뀌어 나올 거라 생각 듭니다.
예를 들면 자신과 부모의 자산, 소득이 일정 기준 초과하면 가입할 수 없다던지 가입 조건이 추가될 수도 있겠죠.

거기다 10년 간 70만 원 납입하는 게 결코 쉽지 않습니다.

타 블로그나 다른 매체들에서 갈아타는 것을 많이 추천하시던데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요즘은 결혼이나 육아를 생각하지 않고 혼자 인생을 즐기시려는 분들이 많은 만큼 한편으로는 이해도 가는 부분이지만
글쎄요.. 앞으로 원화의 가치는 점점 떨어질 테고 요즘처럼 빠르게 변해가는 '투자시장'에서 10년을 묶어둔다?
저는 솔직히 아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물론 부정적인 생각만 하는 것은 아니고 중도 인출 및 재가입은 생애 최초 주택을 구입, 장기 실직, 재해 등 정도라 알려져 있는 만큼 소문대로 시행한다면 내 집 마련할 때 보태쓰거나 장기적으로 여건이 힘들 때 등을 생각하여 가입하시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여유가 되시면 하는 것도 좋겠지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위에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이니 시행한다면 신중하게 결정하시어
생각해보시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시어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여러 경제 기사와 블로그 등을 참조하여 개인적인 견해와 투자에 필요한 부분을 찾아보고 기록한 정도입니다. 내용은 참고만 하시고 , 내용 중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의견을 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var checkAdsenseAdsFlag = true; var checkAdsenseAdsTimer = 0; var checkAdsenseAdsCnt = 0; function checkAdsenseAds() { if(checkAdsenseAdsFlag) { if(checkAdsenseAdsTimer != 0) { clearTimeout(checkAdsenseAdsTimer); checkAdsenseAdsTimer = 0; } checkAdsenseAdsTimer = setTimeout(function() { var insAdsbygoogle = $('ins.adsbygoogle'); if(insAdsbygoogle.length > 0) { var cnt = 0; for(var i=0; i 5) insAdsbygoogle.eq(i).remove(); } } if(cnt == 0) checkAdsenseAdsFlag = false; checkAdsenseAdsCnt++; } }, 5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