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가 money?

카카오 뷰 수익 인증 정말 '헉' 소리난다. & 카카오 뷰 왜 해야될까?

by 돈이Money? 2022. 3. 27.

안녕하세요. 돈이 money?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포스팅이었던,
"'카카오 뷰 수익 신청' 제대로 파헤치기!!" 이은 4탄!
"카카오 뷰 수익 인증 정말'헉'소리 난다. 카카오 뷰 왜 해야 될까?" 편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카카오 뷰 수익 신청"에 관한 대해서 포스팅했었는데요

드디어 카카오 뷰 2월 분 수익에 대한 결제금액이 확인되어 안내해 드릴까 합니다.

25일은 카카오 뷰에서 한 달간의 콘텐츠 큐레이션 수익 내역을 확인해볼 수 있는 날입니다.
먼저 수익금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 뷰 수익 정산 확인하는 법

'카카오 뷰 창작센터 방문' 후

1번 수익 정산 클릭
2번 내가 만든 정산 그룹 클릭

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처럼 바로 수익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 뷰 처음 시작은 정확하게 2월 9일부터 시작하였으며
채널 하나로 시작, 현재 총 4개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2월 총 큐레이션 수익은 이렇습니다.
총액 : 17,000원

그야말로 '헉!'입니다. 한 달간 활동해서 최저시급도 안 나와??

수익금에 대한 생각

뭐 한 달은 못 채웠지만 한 달 가까이한 것치곤 확실히 짜긴 하네요ㅎㅎ
저는 카카오 뷰 수익에 대해서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었고 그리 놀랍지는 않습니다.
현재 카카오 뷰 수익금은 MY뷰를 통한 콘텐츠 유입으로만 수익을 산정하기 때문에 그 한계가 확실하죠

물론 초기 수익금 인증이 100만 원대가 넘어가는 수익 인증이 판을 쳤을 때보다
확실히 너무 수익금이 작아져 버렸기 때문에 카카오 쪽에서도 말이 많았는지
4월부터는 광고를 넣어 광고 수익금을 배분하는 걸로 변경된다고 하니
4월에는 수익금이 어떻게 바뀔지 확인을 해보긴 해야겠습니다.

먼저 저는 티스토리를 시작하며 카카오 뷰 큐레이션 제작의 열정이 줄어들어
카카오 뷰 수익활동을 3월은 거의 하지 않았음을 참고하시고 3월은 2월분의 활동에 대한
수익 인증을 나타낸 지표가 표시됨으로 2월 9일부터 2월 28일까지의 활동의 수익이라고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카카오 뷰 수익이 너무 작아" 계속 진행할 필요가 있나?


수익금을 생각한다면 맞는 말씀입니다.
"겨우 한 달 만 원돈 벌려고 내 시간 투자를 해야 돼?"
라는 의문이 드신 분들은 당연히 들 수 있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카카오 뷰를 사용하며 얻는 이득도 있습니다.
다음 사항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저는,

1. 단순 뉴스 기사 관련 이슈 콘텐츠 제작
2. 재테크 관련 포스팅과 경제뉴스 기사 등 공유
3. 다른 파트너스 수익만을 극대화한 채널 운영 중
4. 개인사업자 등록 후 상품의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한 채널 운용중

이렇게 4개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가장 빠르게 진행했던
"1. 단순 뉴스 기사 관련 이슈 콘텐츠 제작"에 대한 통계를 보겠습니다.

카카오 뷰 큐레이션 활동에 대한 통계 확인해보기

첫 번째 콘텐츠 제작에 대한 [친구수 변화 지표 현재 235명]
채널 친구 수란 티스토리의 구독과 같은 개념으로 나의 채널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가 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콘텐츠 제작에 대한 [총 보드 노출수 & 보드 방문자 수]
보드 노출 수란 카카오 뷰 측에서 내가 발행한 큐레이션 작업 보드를 얼마나 노출해주었는가에 대한 지표입니다.

전체 보드당 5,713명의 채널의 노출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나의 [채널 구독자]의 21%만큼의 나의 보드를 노출시켜줬음을 추의 해볼 수 있을 것 같네요
결국 저 지표로 내가 알 수 있는 결론은?

결론 : 총 보드 발행한 작업물은 현재 26일 자로 총 351개의 보드를 발행하였습니다.
351개의 보드를 5,713명에게 노출해주었고 그중 1,228명(전체의 21% 비중)의 나의 채널 구독자에게 노출시켰으며
5,713명의 노출 중 보드 방문자는 3,659명이 보드에 관심을 가져 유입되었고 그중 217명(3,659명의 5%)만이 나의
채널 구독자가 방문한 게 되겠습니다.

보드 방문자 수란 나의 카카오 뷰 채널로 얼마나 유입이 되었는지에 대한 지표가 됩니다.
전체 채널 보드에 3,659명의 채널 방문을 해주셨네요

아니 그래서 이지 표가 무슨 도움이 되는데?

위 통계는 현재 3/26일까지의 "돈이 money?"
제 티스토리 유입현황 통계표입니다.

어느덧 시작한 지 한 달이 다되어가고 있네요
약 한 달 동안 총 누적 방문자수는 1,422명분이나 제 티스토리로 방문하셨습니다.
그중 3/8일 자 통계 유입 추이를 보겠습니다.

3/8일 자 통계 유입 추이입니다.
이날은 제가 오랜만에 카카오 뷰 채널 유입 활동을 진행한 날입니다.

일간 방문수 92명 방문해주셨고
SNS 통계 보이시나요? 92명 중 51명이 카카오톡으로 유입되었네요

전체 유입 인원중 51명 '약 46.92%'의 유입이 카카오에서 유입된 것이죠
기타 유입에서도 카카오 뷰 유입인원이 2명(PC유입으로 파악됨) 있었습니다.

자신의 블로그나 유튜브, 기타 개인 쇼핑몰, 홈페이지, 카페 유입 등
생각보다 많은 인원의 사람들에게 노출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3/8일 티스토리 노출수는 총 92명 유입입니다.
그럼 같은 날 카카오 뷰 3/8일 자 유입수는 어떨까요?

카카오 뷰 채널 '단 하나'에 3/8일 하루 유입 경로 통계를 보았습니다.
노출수 756명에 방문자 718명입니다.


이제 이해가 되시나요?
"하나의 티스토리와 단 하나의 카카오 뷰 채널의 방문자 유입량의 차이는 626명입니다."

출처 : 아이티데일리

20년 1월 9일 자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모바일 앱" 관련 기사입니다. (관련 기사는 19년도 기준)

‘카카오톡’ 월간 순 사용자 수는 37,432,014명으로 이는 5,178만 대한민국 인구 중 무려 72%에 해당하는 수치다.

19년도 기준 모바일 앱으로 따졌을 때 대한민국 인구의 72%가 사용하는 카카오톡인 것이죠
카카오 뷰에서 콘텐츠를 발행하니 유입량이 저렇게나 차이 나는 것입니다.
만약 티스토리 유입량을 늘리고 싶다면 당연히 카카로 뷰가 대안이 충분히 될 수 있는 것이죠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2022년까지
콘텐츠로 수익을 내는 방법은 정말 수도 없이 많아졌고
각각의 플랫폼은 각 콘텐츠에 연동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수익은 카카오 뷰에서만 얻는 것이 아니죠?
티스토리만 예로 들어도 유입량이 많아야 수익으로 이어진다는 것은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이라면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카카오 뷰 할만할까?

마지막으로 카카오 뷰 그래서 할만할까? 에 대해서 얘기해보자면
다른 포스팅이나 카카오 뷰 관련해 콘텐츠 다루시는 다른 분들의 의견을 보면
"하루 10분 투자해서 수익이 난다!!"라고 말들을 많이 하시던데

실제로 그렇지 않습니다.

카카오 뷰를 하면서 최대 장점은 본인이 직접 콘텐츠 제작을 하지 않고
여러 콘텐츠들을 큐레이션 하는 일이니 그렇게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들을 단순하게 하시는 분들이 참 많으신데

실제로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카카오 뷰 보드 발행의 경우 10~20분 사이면 충분한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보드 발행만 한다고 끝나는 것은 아니죠?

보드를 발행하고 당연히 채널 홍보는 기본입니다.
카카오 뷰 큐레이션 활동에 대한 수익 신청 조건만 보아도
카카오 채널 친구수 100명 이상, 발행한 보드 수 10건 이상
(수정 발행한 보드 수 포함)이 충족되어야 됩니다.

위 이미지는 카카오 뷰 품앗이 관련 오픈 채팅방입니다.
보통 카카오 뷰 품앗이 활동은 여기서 많이들 하시는 것 같고
카카오 뷰 카페, 지인 추천, 블로그에서 유입 등 방법은 많습니다.

카카오 뷰 채널 유입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양질의 콘텐츠를 모아 보드를 발행하여 채널 추가를 하게 한다.
2. 품앗이를 적극 활용하여 유입을 극단적으로 높인다.

1번의 경우

좋은 양질의 콘텐츠를 올리면 당연히 관심 있는 사람들이 내 채널에 관심을 보이고 유입이 될 수 있겠죠?
하지만 그만큼 양질의 콘텐츠를 모아야하기에 하루에 올릴 수 있는 양의 콘텐츠가 준비돼있지 않다면
하나하나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해야 하기에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전문지식이 필요할 수도 있겠죠

2번의 경우

카카오 뷰를 하면서 최대 장점이 본인이 직접 콘텐츠 제작을 하지 않고 여러 콘텐츠들을 큐레이션 하는 일이니
그렇게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전문지식이 필요하여 콘텐츠를 만들 필요가 없다."라고 할 수 있는데
저런 품앗이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초반에는 채널 추가가 용의 하게 진행되지만 채널 친구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추가 인원을 구하기가 점점 힘들어집니다. 결국 나의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는 것이죠


"10~30분이면 간단히 수익을 낼 수 있다."

"누워서도 돈 벌 수 있다"

"카카오 뷰 초반에는 수익 인증 봤는데 수익이 아주 좋더라"

이런 말은 신경 쓰지 마시고 본인에게 필요한지 아닌지
충분히 생각해보시고 결정해보시기 바랍니다.

"카카오 뷰 채널 개설" & "카카오 뷰 보드 발행 방법" & "카카오 뷰 수익 신청"에 대해서 궁금하신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카카오 뷰 채널 개설하기
↓↓↓↓↓↓↓↓↓↓↓↓↓↓↓↓↓↓↓↓↓↓↓↓

'핫'한 제태크 "카카오 뷰 만들기"

'핫' 한 재테크 카카오 뷰 만들기!! 안녕하세요 돈이 money?입니다. 오늘은 카카오 뷰 만들기에 관련해서 포스팅해볼까 합니다. "카카오 뷰로 돈을 번다고?!" 여러분은 들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카

qlehfl0321.tistory.com

카카오 뷰 보드 발행 따라 하기
↓↓↓↓↓↓↓↓↓↓↓↓↓↓↓↓↓↓↓↓↓↓↓↓

"카카오 뷰 그래서 '이건' 어떻게 하는 건데??"

안녕하세요. 돈이 money?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포스팅이었던, " '핫' 한 재테크 카카오 뷰 만들기 "에 이은 2탄, "카"카카오 뷰 그래서 '이건' 어떻게 하는 건데??"편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카

qlehfl0321.tistory.com

카카오 뷰 수익 신청하러 가기
↓↓↓↓↓↓↓↓↓↓↓↓↓↓↓↓↓↓↓↓↓↓↓↓

"카카오 뷰 '수익신청' 제대로 파헤치기!!"

오늘은 지난번 포스팅이었던, "카카오 뷰 그래서 '이건' 어떻게 하는 건데??"에 이은 3탄! "'카카오 뷰 수익 신청' 제대로 파헤치기!!" 편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카카오 뷰 채널 개설"과 "카카

qlehfl0321.tistory.com



카카오 뷰 채널 추가 & 좋아요 공유를 원하시는 분

닻별 뉴스

'닻별' 이란 카시오페아 자리의 순우리말! 북극성을찾는 별자리로 유명하죠 반짝이는 뉴스를 전해드려요

pf.kakao.com

돈이money?

돈이 뭐니?재테크 관련 포스팅을 하는 채널입니다. 최대한 다양하게 도움이 될수있는 Money 포스팅

pf.kakao.com

↑↑↑↑↑↑↑↑↑↑↑↑↑↑↑↑↑↑↑↑↑↑↑↑
돈이 money? 의 카카오 뷰 채널 구독 & 좋아요

제 카카오 뷰 채널입니다.


'핫'이슈 뉴스 & 재테크 관련 큐레이션 채널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 들께서는 들어와 구경해보시고 현재 포스팅 답글에 비밀글로 남겨주시면
채널 추가와 좋아요를 꼭! 드리러 가겠습니다.

총 네 채널 중 두 채널은 따로 실험하고 있는 게 있어서 차후에 기회가 있으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오늘은 포스팅하다 보니
포스팅 내용이 상당히 길어져 버렸네요..

여기까지"카카오 뷰 수익 인증 정말'헉'소리 난다. 카카오 뷰 왜 해야 될까?"마칩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모두 행복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var checkAdsenseAdsFlag = true; var checkAdsenseAdsTimer = 0; var checkAdsenseAdsCnt = 0; function checkAdsenseAds() { if(checkAdsenseAdsFlag) { if(checkAdsenseAdsTimer != 0) { clearTimeout(checkAdsenseAdsTimer); checkAdsenseAdsTimer = 0; } checkAdsenseAdsTimer = setTimeout(function() { var insAdsbygoogle = $('ins.adsbygoogle'); if(insAdsbygoogle.length > 0) { var cnt = 0; for(var i=0; i 5) insAdsbygoogle.eq(i).remove(); } } if(cnt == 0) checkAdsenseAdsFlag = false; checkAdsenseAdsCnt++; } }, 5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