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소비자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죠? 그런데 이런 때에 다음 달 물가가 6%대를 기록할 경우 한국은행이 '빅스텝'에 나설 수 있다는 한국은행 내부 예측이 나왔습니다. 주요 전망기관들도 다음 달 물가를 5%대 후반 ~ 6%대 초반으로 내다보고 있어서 사실 한은이 다음달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빅스텝'에 나서는 것이 기정 사실화 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현재 한국의 물가 상승 상황은 2000년도 이후 연간 물가 상승률이 4%를 넘어섰던 때가 2008년(4.7%)과 2011년(4.0%) 두 차례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올해에만 3월(4.1%), 4월(4.8%), 5월(5.4%) 등 3개월 동안 4% 이상의 물가를 지속하고 있어서 물가는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중에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0ROYB/btrF5HlD8gZ/UmFP6FFCBs2ExYKvajaJPK/img.jpg)
목표 수준을 넘는 물가 오름세가 지속
한국은행 고위 관계자는 29일 뉴시스에 "다음달 금통위에서 '빅스텝'을 할지 말지 여부는 다음주 발표되는 6월 소비자물가가가 얼마나 나오느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을 텐데 6%대가 나온다면 '빅스텝'에 동의하는 위원들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물가가 5.8%나 5.9% 정도 나오면 조금 애매해 질 수는 있겠지만 이 경우라도 '빅스텝' 소수의견 정도는 나오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전했다고 합니다.
한은 고위 관계자가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한국의 물가 상승 압력을 차단하기 위한 선제적 기준금리 필요성이 커졌다는 것으로 해석되는데, 이창용 한은 총재와 이승헌 부총재도 그동안 기회가 있을 때 마다 선제적 통화정책 필요성 언급하며, 빅스텝을 시사해 왔죠?
아마도 이번에 한은에서는 다음달 13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사상 처음으로 빅스텝 단행이 기정 사실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속되는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 역전 가능성
![](https://blog.kakaocdn.net/dn/pzEKO/btrF5ce8CU3/XxqKzZLhjK1lyUXuZCukJk/img.jpg)
거기가 현재 원달러 환율이 4거래일 만에 상승하며 또다시 1,300원 턱밑에서 마감했습니다.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15.6원 오른 달러당 1,299.0원에 거래를 치며, 간밤에 미국의 6월 소비자신뢰지수가 시장의 예상치를 밑도는 등 경제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게 되면서 이날 시장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는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9.0원 오른 1292.4원에 출발한 뒤 1290원대 중반에서 등락하다가, 장 막판 급격한 오름세를 보이며 1299.6원까지 고점을 높였습니다.
올해는 참 여러가지로 어렵습니다~ 어려워~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6.gif)
''정책과지원'이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 2023년 최저임금 시급 9,620원으로 확정…5.0%인상 (12) | 2022.07.01 |
---|---|
미국 연준, 유럽은행, 영란은행 총재의연설 내용 요약[유럽중앙은행(ECB) 연례 정책 포럼] (26) | 2022.06.30 |
고용유지지원금의 조건과 지원대상, 지원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4) | 2022.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