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억을 모으는데 10년이 걸렸다.

돈과 행복은 절대적 관계가 아니다. [부제: 국민행복지수(GNH)1위였던 나라 부탄]

by 돈이Money? 2023. 1. 9.

경제적으로 불안한가? 자신을 가난하여 불행하다고 여기는가? 인생에 있어서 돈이 행복의 전부는 아니라고 하지만, 어느 정도 여유로운 경제 사정이 행복의 기본 요소가 된다는 것은 아무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돈이라는 것도 나의 행복을 위해 쫓아가야 하는 것이지, 행복을 위해 돈을 쫓는다는 것은 바보 같은 일이다.

 

 

이 글을 읽으며 누군가는 똑같은 말을 뒤바꿔 말장난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기본적으로 돈과 행복은 절대적 관계 아니다.

 

 

'부탄'이라는 국가를 들어보았는가? 부탄은 국민행복지수(GNH)를 처음으로 도입한 국가이다. 이야기에 앞서 잠깐 부탄이라는 국가를 알아보자면, 부탄은 인도와 중국 사이에 낀 남아시아의 작은 내륙국으로 히말라야 산맥의 작은 왕국인 부탄은 한때 '행복지수 1위, 국민 97%가 행복하다.'는 국가로 많이 알려져 있었다.

 

 

이에 소위(謂) 돈 많고 잘 사는 나라 미국에서는 이 같은 부탄사람들이 행복한 이유에 대해 10가지로 분석하기도 했는데, 미국의 라이프스타일 건강정보 사이트인 라이프핵이 분석한 부탄이 행복한 이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라이프핵이 분석한 부탄이 행복한 이유 10가지


1. 정신적인 행복과 물질적인 행복을 동등하게 여긴다. 


2. 부탄의 국내총생산(GDP)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3. TV나 라디오, 인터넷에 신경 쓰지 않는다. 

4. 부탄 국토의 절반은 국립공원으로 보호되고 있다. 

5. 대부분이 불교도다.

6. 그들만의 행복지수(GNH)를 측정한다. 

7. 그들이 사는 곳은 (휴가지로 갈 정도로) 아주 멋진 곳이다. 

8. 부탄의 사회지도층과 일반 국민들 사이가 멀지 않다. (격차가 크지 않다) 

9. 그들은 잘 쉰다. (3분의 2 이상 국민이 하루에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할 정도) 

10. 환경이 오염되지 않았다. (이는 부탄 헌법 제5조 3항. "정부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보장해야 한다. 나라의 천연자원을 보존하고 환경파괴를 막기 위해 부탄 전체 토지의 최소 60%를 산림으로 항상 유지한다."를 보면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돈과 행복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왠 부탄이라는 작은 나라 이야기를 하는 것인지는 오늘의 이야기는 끝까지 보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부탄은 정말 재미있는 국가다. 2008년 민주헌법을 선포하면서 국민들과 의회에도 이러한 안건을 통보하고 세계 최초로 국민행복지수(GNH)를 만든 국가다.

 

반응형

여기서 눈 여겨볼 점은 왕이 직접 자신들의 권력을 직접 포기하고 국민들이 나라를 다스리는 민주주의로 전향하겠다고 한 것인데, 오히려 국민들과 의회가 나서서 민주주의를 반대하는 진기한 일이 일어났다는 점이다.

 

 

이렇게 국민들의 반대와 의회의 반대에도 지그메 싱계 왕축 국왕은 뜻을 굽히지 않았고,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민주화를 외쳤으며 그의 뒤를 이어 왕이 된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추크 국왕 또한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민주주의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국민들의 동의를 얻어 의회의 반대를 일축시켰고 왕의 강력한 주장에 따라 당시 인구 77만 명의 작은 나라 부탄에서 2008년 7월 18일 민주주의가 실행된다.

 

 

이 같은 일련의 사건들은 부탄의 두 왕들이 추후 후대를 이을 왕이 국민들을 못 살게 구는 폭군이거나, 나라의 존립이 위태로워져 행복정책과 국민들의 행복은 한순간에 물거품이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에서 나왔고, 이로 인해 자신들이 가지는 왕으로서의 모든 권력을 포기하면서까지 부탄을 전제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로 탈바꿈한 사건이다.

 

 

이런 일이 불과 30년이 채되지 않은 2000년대의 일이며, 그만큼 당시 부탄의 2대 왕들의 정치는 평화로웠고 정치를 너무 잘한 나머지 국민들이 한마음으로 민주주의를 반대하며 전제군주제를 유지해달라고 나섰다고 한다. 이 정도로 부탄은 정말로 평화로운 국가였다.

 

 

국민행복지수(GNH)는 어디서 나온 말일까?

 

부탄-국가정보
부탄-국가정보 / 출처 : 네이버

 

 

한국에서 국민행복지수(GNH)가 잘 알려지게 된 계기는 지난 2017년 쯤에 문제인 정권에서 한국과 수교 30주년을 맞은 '부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그 해에 히말라야 트레킹을 다녀왔던 문재인 전 대통령이 당시 "부탄 국민행복지수를 한국식으로 개발해 연내 도입을 지시"했다는 보도가 있고 난 후가 아닐까 한다.

 

 

부탄은 1972년 제4대 국왕인 지그메 싱기에 왕추크 때 국민총행복 정책이라는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 이렇게 부탄에서 만들어진 행복 개념은 2007년 OECD에서도 국가별로 측정을 시작했다.

 

 

국민행복지수(Gross National Happiness, GNH)란 경제적 발전만을 평가하는 GDP를 대체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도입 취지는 부탄의 경제 발전이 불교적 전통문화에 기초하여 국민의 삶의 질과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에서 나왔다. 이 헌법에서 행복 정책의 개념과 나아갈 방향이 명시되어 있는데, 이렇게 부탄은 GNP(국민총생산)나 GDP(국내총생산) 대신 국민행복지수(GNH)를 국가 정책의 기본 틀로 채택했다.

 

 

 

 

애초에 부탄의 정치체계는 나라가 건국될 때부터 왕이 모든 것을 다스리고 결정하던 전제군주제였다. 그러나 2006년 제5대 왕인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추크(Jigme Khesar Namgyel Wangchuck)가 즉위하면서 2008년 민주헌법을 선포하고 '국민행복지수'(GNH)를 계량화해 공식 발표하면서부터 부탄의 모습이 바뀌었다. 

 

 

부탄의 재미있는 점은 이렇게 2대에 걸쳐 국왕들이 지속적으로 국민들을 행복하게 하는 행복 정치를 펼치려 노력했다는 것이다. 부탄이 말하는 행복에 슬로건은 간결하며 또 단호하다.

 

1. 평등하고 지속적인 사회경제 발전

2. 전통가치의 보존 및 발전

3. 자연환경의 보존

4. 올바른 통치구조



이렇게 4대 축을 기반으로 하여 심리적 안정, 건강, 시간 사용, 행정체계, 문화 다양성, 교육, 공동체 활력, 환경, 생활수준 등의 9개 영역에 33개 지표를 가미해 측정한다.

 

부탄은 2007년 12월부터 2008년 3월 사이에 12개 행정구역에 거주하는 950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9개 분야 72개 항목으로 구성된 국민행복지수 조사 시행을 시작으로 2010년과 2015년 조사를 실시했다.

 

 

부탄 국민행복청의 닝톱 페마 노르부 계획관의 말에 따르면, 총 9개 분야에 걸쳐 134개 정도의 질문을 던진다. 2015년 조사에서는 대략 8500명을 조사했는데 전체 인구의 약 2~2.5% 정도이고 2015년 조사에서는 74%가 행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는 말을 하기도 했다.

 

부탄을 보면 돈과 행복은 마냥 절대적 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울-비교-측정
저울-비교-측정

 

이런 부탄이 전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1위가 되었던 계기는 2010년에 유럽 신경제재단(NEF) 행복지수 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기 때문이었지만, 부탄의 순위가 불과 6년 후인 2016년에 56위까지 급격히 떨어졌다. 이처럼 부탄은 2000년대 후반 들어 국민소득이 큰 폭으로 늘어났으나 반면 행복지수는 급격히 떨어졌다. 그 이유가 뭘까?

 

 

애초에 부탄은 외국 문물 유입에 의한 전통문화 파괴 등에 이유로 TV와 인터넷 등의 통신장비를 전적으로 금지하다가 1999년에 이를 허용했다. 이제는 현대 인류의 전유물이 되어버린 휴대전화를 허용한 것은 2003년으로 현재 부탄의 많은 젊은이들이 최신형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등 개방의 물결 속에 있게 된 것이 그 원인이다.

 

 

부탄의 젊은이들은 국경 없는 인터넷, SNS 등 정보의 바다에서 첨단 기기의 소위 주변 잘 사는 국가들에 편리함과 고소득 국가의 발전상을 알게 되었다. 현상 유지와 작은 행복을 고집하던 국가 전략이 한계를 드러냈고 젊은 층의 불만도 커지게 된 것이다.

 

"한마디로 잘 사는 이들과 자신들을 비교하기 시작했다."

 

 

사실 엄밀히 따지자면 부탄의 불행이 비단, 정보통신 장비에 보급 때문 만이라고 할 수는 없다.

 

 

부탄은 OECD 기준, 통계적으로 가난한 나라인 것은 부정할 수 없고 부탄 내부에서 커지고 있는 빈부격차와 사회적 불평등, 부탄 전국에 의사는 고작 180여 명으로 이마저도 수도인 팀푸에 몰려있으며 의료 혜택이 무상 제공되지만 부탄의 1세 이하 영아사망률은 2015년 기준 1000명당 30.5명으로 높은 편이다.

 

 

문해율은 2015년 기준 64.9%로 인구 3명 중 1명은 문맹인 부족한 교육 환경, 인프라 구축 등의 문제에 봉착해 있다. 이로 인해 부탄의 젊은이들이 불만을 가지게 되고 자신들을 불행하다 여기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러나 이는 여러 선진국들과 상대적으로 비교했을 때 얘기지, 북한이나 소말리아 등과 같이 굶주리는 나라는 아니며, 1인당 국민소득은 주변의 인도나 네팔, 방글라데시 등의 주변국보다 높고 당장 부탄의 바로 옆나라 인도의 치안만 보더라도 우리나라 국민들의 인도 치안에 대한 인식이 굉장히 안 좋은 편이지만, 그에 비해 부탄의 치안력은 상당히 안정적이다. 

 

 

국민들의 80% 이상이 농업 및 생필품이나 관광객을 상대로 하는 수제품 수공업에 종사하고 척박한 국토에도 불구하고 농산물을 수출할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자국의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킬 만큼은 생산되고 있다고 하며, 인도에서 충분한 식량을 지원하고 있어 독립 이래로 여태껏 기근이 문제가 된 일은 없었다고 한다.

 

 

 

결국 이처럼 부탄의 행복과 불행의 이면에는 다른 사람과의 경제적 비교라는 싹이 자라난 순간부터 불행을 가져다줬다.

 

 

 

돈과 행복은 절대적 관계가 아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자신을 불행하게 하는 이유들은 사람마다 각자 다르고 여러가지 많겠지만, 앞선 부탄 이야기만을 놓고 본다면, 개인적으로 느낀 점은 돌아오지 않을 과거를 후회해도 돌아오지 않을 것이며, 다른 부유층들과 나를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것이었다.

 

 

 

 

당장 나보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등한시하고 그들을 깔보며 위안 삼으라는 것이 아니다. 당신의 인생에서 자신보다 성공한 삶의 누군가와 비교하고 후회하며 불행하다 여기지 말고 본인보다 못한 인생이라며 다른 누군가를 까내리지도 말고, 조금이라도 나의 행복 집중하고 온전한 나의 행복을 찾자는 얘기다.

 

 

주식이나 부동산 등을 투자하면서 현대 사회는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좀 더 빠르고 좀 더 쉽게 투자정보들에 대한 내용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런 SNS나 여러 커뮤니티들의 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당장에 많은 글과 댓글들에 다른 사람과의 성공을 부러워하고 나태했던 지난 과거와 현재를 당장 후회만 하면서 남들의 위치, 성공담을 부러워만 하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이고 다른 이들의 정보만을 온전히 믿고 투자하다가 낭패를 보고서는 뒤늦게 그들을 비난하고 나선다.  

 

 

이미 벌어진 일에 대한 후회는 현재의 나를 바꿀 수 없다. 또한 우리의 인생에 있어 돈이라는 것이 절대적으로 행복의 마지막 종착역이자 결과론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오늘의 부탄이 보여주고 있다.

 

 

부탄의 행정을 맡은 사람들은 현재의 부탄이 행복하다고 쉽게 말하지 않는다. 돈과 물자가 없는 상태에서 키울 수 있는 행복은 한계가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돈과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경제력이란 중요한 것이지만,

 

 

애초에 부탄의 사람들은 가난하지만 천성이 유하며, 자신들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무척 사랑하고 작은 것에 감사할 줄 알던 나라로 다른 이를 쉽게 시기 질투 하지 않는 나라였고, 자신들의 현재를 만족하며 자연, 문화, 역사, 종교 등 모든 것에 감사하고 사랑할 줄 알던 나라였다.

 

 

그러나 현재의 소소한 행복보다 더 잘 사는 국가, 잘 사는 사람, 좋은 주택과 좋은 인프라 등의 현실을 목도(睹)하면서 그들은 변했다.

 

 

현재의 삶을 사랑하자. 앞으로 일어날 모든 성공을 위한 노력에는 앞으로의 행복을 위해 결코 그 과정이 불행해서는 안된다. 

 

 

무리한 영끌 투자로 돈을 잃거나, 내 주변인들의 투자 성공담을 주워 들어 배가 아프거나, 잘 사는 누군가와 비교만 해서는 행복해질 수 없다. 자신의 성공에 척도와 행복함의 정도는 본인 스스로가 정의하는 것이다. 타인이 나의 인생에 대해 아무리 개인적으로 불행한 삶이라고 여긴다 하여도 내 스스로 성공했다고 생각하며, 행복감을 느낀다면 그것이 나에게 성공한 삶, 행복한 삶이 아니라고 누가 부정할 수 있으랴.

 

 

나의 성공에 대한 정도와 행복에 대한 만족감에 대한 척도(度)는 순전히 본인 스스로가 판단할 문제이며, 성공과 행복은 지극히 개인적인 만족감에서 나오는 것 이다.

 

 

그것이 아무리 작은 것이어도 온전히 내 스스로의 감정이 느끼는 만족감과 행복감이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이다. 다른 누군가의 행복과 나의 행복에 크기를 비교하지 말자. 현재에 내가 가지고 있는 행복을 감사히 여기며, 앞으로 다가올 행복에 대한 기대감을 고민하는 것이 내가 행복해지는 일일 것이고, 내 스스로 행복해지는 것이 나의 주변 사람들도 행복해질 수 있는 건강한 행복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 모두 진정한 행복을 위한 투자자가 되자."

 

 

 

출처: https://qlehfl0321.tistory.com/ [돈이 money? 의 돈 공부 거기에 일상까지 한 스푼 더합니다.]

 

본 포스팅의 내용은 무단 전재 배포를 원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


var checkAdsenseAdsFlag = true; var checkAdsenseAdsTimer = 0; var checkAdsenseAdsCnt = 0; function checkAdsenseAds() { if(checkAdsenseAdsFlag) { if(checkAdsenseAdsTimer != 0) { clearTimeout(checkAdsenseAdsTimer); checkAdsenseAdsTimer = 0; } checkAdsenseAdsTimer = setTimeout(function() { var insAdsbygoogle = $('ins.adsbygoogle'); if(insAdsbygoogle.length > 0) { var cnt = 0; for(var i=0; i 5) insAdsbygoogle.eq(i).remove(); } } if(cnt == 0) checkAdsenseAdsFlag = false; checkAdsenseAdsCnt++; } }, 5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