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돈이 money?입니다.
1. 미국 CPI, 1981년 이후 41년 만에 최대 폭인 8.6%가 상승
어제 예고드린대로 지난 10일 미국에 5월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CPI)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미국내의 물가지수는 1981년 이후 41년 만에 최대 폭인 8.6%가 상승되었음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로써 많은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작년 대비 8.3% 상승을 예상했던 상한치보다 더 높게 올라가게 되면서 미국의 자국시장 또한 녹록치 않은 시장상황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발표된 것입니다.
물가 변동이 심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CPI는 6.0%로 이 역시 전문가들의 예상치였던 5.9%보다 높았습니다. 경제상황의 악화가 점점 관련 전문가들의 예상치보다 발빠르게 가속화 되고 있는데, 이런 물가 상승을 주로 끌어올린 것은 에너지, 식품, 주거 관련 비용(shelter cost)입니다. CPI의 약 3분의1를 차지하는 주거 관련 비용은 전년 대비 5.5% 올랐습니다.
이번 미국의 5월 에너지 가격은 전년 대비 34.6% 상승했습니다. 에너지 가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 지속적으로 상승중인데요? 최근 가솔린 가격은 역대 최고 수준인 1갤런(3.8리터)당 4.97달러에 거래되기도하며, 식료품 물가는 전년 대비 11.9% 올랐습니다.
현재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보면 알수있듯이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이고 또한 견고하게 유지될 것입니다. 물론 이런 물가상승은 어느순간을 기점으로 서서히 완화될 것이지만, 지난 몇주 간 에너지 시장을 보면 아직 인플레이션이 정점이 달했다고는 보이지 않습니다. 기존 시장의 예상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어쩌면 이번 글로벌 경제의 인플레이션(inflation)이 우리의 예상보다 더 장기화 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방증하고 있는 것이 되겠네요. 기본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것은 노동시장 상황과 관련있어 보입니다. 현재 노동시장에선 수요가 공급을 앞질렀다고 볼수 있는데, 이는 실업률이 거의 5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게 되면서 임금 상승을 이끌고 있고,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되면서 여행 및 기타 서비스 비용도 오르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원인을 따져보자면, 경제상황의 악재전 코로나 팬데믹 상황때에 대규모의 자금을 시장에 뿌린대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코로나19의 상황에서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으나, 생각보다 장기화되고 또 시장에 풀린 화폐의 규모가 생각보다 커져버렸기에 그 후폭풍을 맞은 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경기 침체를 막으면서 물가를 잡아야 하는 어려운 숙제를 안고 있습니다. 연준은 이번 5월 4일에도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지만, 다음주 비슷한 수준의 인상을 또한번 고려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런 기준금리 인상은 비단 미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당분간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2. 이번 미국에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로 인한 뉴욕증시 상황 정리
앞서 알려드린대로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0여 년만에 최대폭 급등했다는 소식에 뉴욕증시가 전체적으로 주저앉은 모습입니다. 지난 10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의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80.00포인트(2.73%) 떨어진 3만1392.79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 S&P500 지수는 116.96포인트(2.91%) 급락한 3900.86로 마감하였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14.20포인트(3.52%) 급락한 1만1340.02로 각각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이날 뉴욕증시의 전체적인 하락의 이유는 어제 포스팅 해드린 예상대로 개장 전에 나온 5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앞서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지난 3월 8.5%로 40년 만의 최고치를 찍은 뒤에 4월 8.3%로 다소 내려가게 되면서 인플레이션의 바닥을 보였다라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번 6월 발표로 인해 깜짝 오름세로 다시 전환하게 되었습니다.
예상보다 길어지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앞으로 남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에 상승은 더 가파르게 끌어올릴 것이라는 전망이며 당분간 금융시장을 지속적으로 압박하면서 증시에 악영향을 미칠수밖에 없습니다. 특히나 연준이 9월 이후에도 빅스텝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는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증시상황은 당분간 더 하락장일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긴축 우려에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한때 연 3.17%대까지 급등했고 금리에 부담을 느끼는 기술주들도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기술주 대장주들인 엔비디아는 6.0%, 아마존은 5.6%, 마이크로소프트(MS)는 4.5%씩 각각 급락했고, 애플마저도 3.9% 내리며 장을 마감했습니다.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황
대한민국의 지난달 물가 조사 대상 품목 5개 중 1개꼴로 가격이 1년 전보다 10% 이상 올랐습니다. 10일 통계청 국가포털통계(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대상 458개 품목 중 가격 상승률이 10% 이상인 품목은 93개로 20.3%에 달했습니다. 두자릿수 상승률 품목은 지난해 5월만 해도 43개(9.4%)였으나 올해 1월 61개(13.3%), 2월과 3월은 각각 71개(15.5%), 4월은 85개(18.6%)를 기록하는 등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을 품목별 잠깐 알아보면, 등유가 1년 전보다 60.8% 올라 조사 대상 품목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여
였고, 양배추(54.6%), 경유(45.8%), 국수(33.2%), 감자(32.1%), 무(31.3%) 등 식료품과 에너지 품목등이 각각 상승률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지난달 식료품·에너지 제외 물가지수는 3.4% 올라 2009년 2월(4.0%) 이후 가장 높았으며,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 물가지수입니다.
근원 물가 지수(Core Inflation)란?
장기적이며 기조적(基調的)인 물가 변동을 파악하는 지수로써 농산물이나 석유류와 같은 외부 충격에 변동이 심한 품목은 제외하고 산정한다.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품목 309개 중에서 가격이 10% 이상 오른 품목은 11.3%비중의 35개 품목이었는데요? 309개 품목 중 10% 이상 오른 품목은 작년 12월 14개(4.5%)에서 올해 4월 32개(10.4%)를 기록하는 등 점점 늘고 있습니다.
품목성질별로 보면 내구재는 1년 전보다 3.4% 올랐는데 이는 2010년 5월(3.5%) 이후 12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싱크대(19.2%), 장롱(13.6%), 책상(12.7%), 자전거(12.0%) 등이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이는 원재료 가격상승과 운송비용의 상승 등의 이유로 인해 오를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죠.
공급망 차질 영향으로 수입승용차(4.3%), 다목적승용차(3.8%), 대형승용차(3.0%) 등도 일제히 올라갔으며, 물가 상승세는 서비스 영역으로까지 확산하고 있습니다.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지난달 3.5% 올라 2011년 7월(3.5%) 이후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보험서비스료(14.8%), 대리운전이용료(13.2%), 국내단체여행비(10.4%), 국내항공료(10.2%) 도 크게 상승하였고, 외식까지 포함하여보면, 전체 개인서비스 물가는 5.1% 상승하며, 이는 2008년 12월(5.4%)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라고 합니다.
지난 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발표한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0%에서 2.7%로 0.3%포인트(p)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로써 국내외 대부분 주요 기관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기대치는 3%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OECD와 동일한 2.7%로 수정했으며, 국제통화기금(IMF)은 2.5%,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8%를 각각 하락하여 수정 전망치를 내놓은 상태입니다. 이에 정부도 이달 중순 발표할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1%에서 2%대 후반으로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OECD는 우리나라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하향조정하여 내려잡았는데, 2.7%에서 2.5%로 0.2%포인트 내려 잡았습니다. OECD에 따르면 최근 한국 경제에 대해 "수출은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지만 소비 회복 지연에 따라 회복세가 둔화하는 모습"이라며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가 촉발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물가상승률이 크게 확대됐다"고 평가 이유를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글을 마치며,
앞서 우려한대로 미국에 5월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CPI)가 기존 예상보다 올랐습니다. 정말 안좋은 징조이죠..... 당분간 물가 상승은 계속 될 수 있습니다. 미리미리 대비하시고 월급빼고는 다오르는 상황이니 미리사두고, 가계부채를 줄이는 상황 등을 만드는 것이 최선의 상황입니다.
CPI가 예상보다 더 오르면서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로인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또한 더 올라갈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미국 증시든 한국 증시든 상황이 계속 안좋을 수 밖에 없을 것이고, 현재 우리나라의 내부안에 가득 낀 부동산 거품이 조금씩 터지기 시작하며 부동산 가격 하락을 보일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수도권 일부를 제외하고)
이런 위기의 상황에서 기회를 만들어 부자가 된다는 얘기를 많이 들으셨겠지만, 그냥 개인적인 의견으로 아직은 때가 아닌 듯 합니다. 과거의 금융위기 등과 지금은 또다른 형태입니다. 지금껏 우리가 겪어 보지 못한 형태의 스테그플레이션(stagflation) 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풀린 엄청난 자금의 유동성들이 급격한 인플레이션을 만나게 되면서, 그 많던 모든 화폐들이 급속도로 중앙은행들로 모이고 있습니다. 지독한 물가상승과 경제불황이 같이 온 것입니다. 현재 세계에서는 아직까지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사실 지금 상황만 놓고보면 서민들에게는 인플레이션은 넘어섰다고 볼수 있습니다.
일반 서민들의 입장에서는 이미 스테그플레이션(stagflation)을 겪고 있는 것이죠. 과거의 상황을 보고 유추하여 어느정도 대비를 해두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물론 대비를 해놓았는데 경제가 금방 좋아진다면, 그것은 또 좋은 진행 방향이 되지 않겠습니까? 무엇이든지 미리미리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 두는 것은 좋은 습관입니다.
1억을 가진자가 10만원을 잃는 것은 별로 큰 손실이 아닐지 모르나, 100만원을 가진자가 10만원을 잃는것은 또 다릅니다. 이런 경제 불황의 상황에서는 어찌되었든 서민들이 더 고통스러울수 밖에 없습니다. 조금이라도 대비하여 충격을 덜 받는 것이 맞는 수순이라고 생각됩니다. 정말 지극히 개인적은 협소한 의견입니다만, 아직까지는 레버리지 투자를 할때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좀더 안전한 자산형성과 안전한 투자의 방향으로 눈을 돌리시고, 이런 극도의 경제불황에서는 아무것도 안하는 것이 성공한 투자가 될수도 있음을 고려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화폐의 수요가 감소하는 상황에서는 화폐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임으로 현금을 준비하면 투자의 기회 손실이라고 보기도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끝!
출처: https://qlehfl0321.tistory.com/ [돈이 money? 의 돈 공부 거기에 일상까지 한 스푼 더합니다.]
본 포스팅의 내용은 무단 전재 배포를 원하지 않습니다.
댓글